전체 글(26)
-
[GitHub] Merge
📌 Merge란? 협업에 있어서 repository에 초대 받았을 때 master(=main) branch외 새로운 branch를 생성하여 작업한 후 add, commit, push한 내용을 master branch에서 합병하는 과정이다. # How to Make new branch? git branch {branch_name} # branch 변경 git checkout {branch_name} # add, commit, push git add . /or/ git add {file_name} git commit -m "{commit message}" git push origin {branch_name} # pull request 협업에 있어서 코드에 잘못된 내용 및 수정 사항들을 Merge 전에 미리 ..
2024.03.16 -
[Spring] @ComponentScan & @Autowired
📌 @ComponentScan # What id it? 1. 직접적으로 설정 정보 및 SpringBean을 등록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Bean을 등록하는 기능이다. 2. @Component가 붙은 클래스를 자동으로 스캔하여 Bean으로 등록한다. @Configuration도 내부에 @Component라는 어노테이션이 붙어있다. 3. Bean의 기본 이름은 클래스이름의 맨 앞 문자를 소문자로 하여 사용한다. ex) ClassName : MemberServiceImple => BeanName : memberServiceImpl # Starting Position 1. basePackages="" 속성으로 탐색을 시작할 Package의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2. basePackageClasses="" 속성으..
2024.03.16 -
[Spring] Singleton & Singleton Container
📌 Singleton # Why Use it? 1. WebApplication의 특징은 User(=사용자)가 수많은 요청을 보내는 구조이다. 2. 요청이 올때마다 새로운 객체가 생성된다. ex) 사용자 트래픽이 초당 100개가 요청되면 초당 100개의 객체 생성 및 소멸 >> 메모리 낭비가 심하다!! - 해결방안 : 객체를 1개만 생성하고 이 객체를 공유하도록 설계한다. >> Singleton Pattern # What is Singleton Pattern? - Class의 인스턴스가 딱 1개만 생성되는 것을 보장하는 디자인 패턴 # How to make? - private 접근 지정자를 사용하여 외부에서 임의로 new 키워드를 사용하지 못하게 한다. public class SingletonService..
2024.03.15 -
[Spring] BeanFactory와 ApplicationContext
📌 BeanFactory SpringContainer의 최상위 Interface이다. SpringBean을 관리하고 조회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 ApplicationContext BeanFactory를 상속받은 Interface이다. 상속 관계로 이루어져 있기에 BeanFactory가 가진 기본적인 기능을 모두 가지고 있다. 📌 BeanFactory vs ApplicationContext Application 개발 및 관리에는 수많은 부가기능을 필요로 한다. ApplicationContext는 BeanFactory를 제외하고도 MessageSource, EnvironmentCapable, ApplicationEventPublisher, ResourceLoader 등의 Interface를 상속받으며 ..
2024.03.14 -
[Spring] Spring 핵심 원리
📌 Spring Container 생성 // App ApplicationContext applicationContext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xxx.class); 1. ApplicationContext를 스프링 컨테이너라고 한다. 2. SpringContainer는 XML 방식, Annotation 방식의 2가지 방식으로 생성할 수 있다. 3. ApplicationContext는 Interface이다. 4.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는 Interface의 구현 객체이고, 파라미터로 Class 파일을 받는다. 📌 Bean 생성 // xxx.class @Bean public {Interface Name} {Me..
2024.03.14 -
[GitHub] Repository 생성 및 Project commit & push
📌 GitHub 사용법 사용법에 대하여 큰 흐름을 작성해보겠습니다. 1번은 최초 프로젝트 진행 시 한 번만 시행하면 되고, 이 후 나머지 절차를 반복하는 방식으로 사용합니다. GitHub에 repository(저장소) 생성 또는 복제 프로젝트, 파일 생성 프로젝트, 파일 경로에서 Git repository에 연결 프로젝트, 파일의 편집 or 삭제 => 스테이징 영역에 저장 - (git add) 변경한 내용을 로컬 저장소에 commit - (git commit) 로컬 저장소를 push 하여 원격 저장소(Git repository)에 반영 - (git push) 🖼️ 4~6 과정 그림 참고 1. GitHub에 repository(저장소) 생성 또는 복제 GitHub에 접속하여 로그인 후 우측 상단에 +, n..
2024.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