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thon(8)
-
[Python] 내장함수 (sum, abs, min, max, eval)
# sum() 합을 구해주는 함수 매개변수로 iterable이 들어가야한다. ex) list, tuple, set 등.. 매개변수의 자료형은 정수형 or 실수형이어야한다. s = [1, 2, 3, 4] sum(s) // 출력 : 10 sum([1, 3, 5]) // 출력 : 9 # abs() 객체를 절댓값으로 바꿔준다. s = [1, 3, 5] abs(s[2] - s[0]) // 출력 : 4 abs(1-4) // 출력 : 3 abs(-1) // 출력 : 1 # max(), min() 최솟값과 최댓값을 구해주는 함수 문자열과 숫자형 모두 인자로 사용가능하다. s = [1, 3, 4, 6] min(s) // 출력 : 1 max(s) // 출력 : 6 # eval() 문자열으로 구성된 수식을 계산해주는 함수 ..
2023.09.17 -
[Python] Python이란?
인터프리터 언어 : 소스코드를 한 줄씩 기계어로 번역해서 실행 결과를 보여준다. 스크립트 언어라고도 한다. 특징 배우기가 쉽다. 오픈소스 (무료) 방대한 라이브러리를 가진다. 어느 운영체제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버전 파이썬 3.x, 2.x 모두 많이 사용된다. 파이썬 2.x를 사용하는 이유 2.x에서만 지원하는 라이브러리가 존재한다. 과거에 작성된 코드가 존재한다. 파이썬 3.x 파이썬 2.x를 개선한 차기 버전 구조와 구문이 일부 변경되어 서로 완벽하게 호환되지 않는다. 유니코드 지원 공식 홈페이지 https://www.python.org/ Welcome to Python.org The official home of the Python Programming Language www.python.or..
2023.09.13 -
[Python] set(집합)
set은 수학적 개념 중 집합과 유사한 형태이다. unique한 값(중복 X)만 올 수 있으며, 순서가 존재하지 않는다. 괄호안에 다양한 형태의 객체가 올 수 있다. 예시 s1 = set([1,2,3]) s2 = set('hello') print(s1) print(s2) // result s1 : {1,2,3} // result s2 : {'h', 'l', 'o', 'e'} 순서가 없으므로 인덱스 값이 없으며, 필요시 튜플 or 리스트로 변환 후 사용 가능하다. # 합집합, 교집합, 차집합 주어진 객체 a = set([1,2,3]) b = set([1,3,5]) 합집합 : | 기호, union 함수 사용 c1 = a | b c2 = a.union(b) print(c1) // result : {1, 2, ..
2023.09.12 -
[Python] 제곱, 제곱근 처리하기
# (**) 연산자 사용 제곱 // a의 2승, b의 3승, a의 b승 a**2 b**3 a**b 제곱근 (루트) // a의 제곱근, b의 세제곱근 a**(1/2) b**(1/3) # math 라이브러리 사용 제곱 // a의 2승, b의 3승, a의 b승 import math pow(a,2) pow(b,3) pow(a,b) 제곱근 (루트) // a의 제곱근 import math sqrt(a) ※ pow()와 sqrt()의 결과는 항상 실수로 나옴
2023.09.12 -
[Python] join 함수, 슬라이싱
# join 함수 ''.join(리스트) - 리스트의 값들을 하나의 문자열로 합쳐주는 함수 a = ['a', 'b', 'c'] result = ''.join(a) print(result) // 출력 : abc '구분자'.join(리스트) - 리스트 값들의 사이를 구분해 보여지도록 활용할 수 있다. a = ['a', 'b', 'c'] result1 = '_'.join(a) result2 = '\n'.join(a) print(result1) // 출력 : a_b_c print(result2) /* 출력 a b c */ # 슬라이싱 기본형태 : a라는 연속적인 형태(ex.리스트, 튜플 등)를 가진 변수 뒤 대괄호를 사용, 3개의 인자 값이 오는데 start, end, step으로 이루어져있고 각 값은 양수, ..
2023.09.08 -
[Python] for 반복문
# for문의 기본구조 객체 자리에는 반환값이 해당 객체인 함수가 위치 가능하다. for 변수 in 객체(ex.리스트, 튜플, 문자열...): 실행할 문장1 실행할 문장2 input() 함수로 입력받은 값은 문자열이므로 오류 없이 실행된다. for i in input(): print(i) for문은 다중 중첩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for i in 객체1: for j in 객체2: 실행할 내용 # for문과 함께 자주 사용되는 함수 (range, continue, break) range() 함수 - 매개변수로 start, stop, step을 사용할 수 있고 시작이 0일 시 생략가능하다. range(0, 4) // 출력 : 0, 1, 2, 3 range(4) // 출력 : 0, 1, 2, 3 range(0..
2023.09.07